본문 바로가기

비유

인간은 왜 늙고 병들고 죽어가는 것일까? 인간은 왜 늙고 병들고 죽어가는 것일까? 인간의 몸 안에는 어디에고여 있는지 조차 모를 복잡한 구조를 통해서 몸의 70%가 물의 성분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음식물을 통해서나 직접 물을 마셔서 갈증을 해결하며 죽지 않고 살아간다는 생각입니다 인간은 태어나서 제일 복잡한 문제가 생로병사의 비밀이라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어떻게 하면 늙지 않고 병들지 않고 죽지 않는 것일까? 석가도 공자도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으나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성경에는 예수님의 말씀을 생명의 말씀이라 하여 예수님께서 주시는 말씀을 생명의 물로 비유하여 말씀하시고 계시는 것을 보면 인간은 육적인 물을 마시는 것도 중요하지만 영적 말씀의 물로 인하여 생명이 이어진다는 생각을 할 수가 있고 인간이 먹고 마시는 물은 마셔도 죽지만 예수님의 .. 더보기
부자와 거지의 비유 부자와 거지의 비유 비유는 어떤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직접 설명하지 않고 그와 비슷한 다른 현상이나 사물을 빌려 표현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부자와 거지가 한날 한 시에 죽었다가 가장한다면 과연 천국에 갈 사람은 누구이겠는가 성경에는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기는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보다 힘들다 했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내용입니다. 세상에 살 때 에는 빈부의 차이가 있더라도 죽어서야 빈부의 차이가 없는데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참으로 궁금하다는 생각이며 답이 있을것 같지 않습니다. 부자가 죽어서 지옥에 갔는데 천국을 바라보니 자기 집 대문 앞에서 구걸을 하면 지내던 거지가 천국에 있는 것을 보고 목이 말라 물 한 방울 건네주기를 청하지만 그리 할 수 없었습니다. . 두고 온 돈 많은.. 더보기
알곡과 쭉정이를 골라내는 천사의 날개 알곡과 쭉정이를 골라내는 천사의 날개. 가을비가 내리기 전에 농부가 해야 될 일은 콩을 베어 말리고 타작마당에 곡식을 너는데 쓰이는 멍석을 깔아 놓고 곡식을 까부르는데 쓰이는 키로 쭉정이와 티끌을 각각 나누어 알곡과 쭉정이를 분리하는 것입니다 분리된 쭉정이는 모아다가 불사르고 알곡은 창고에 쌓아 두게 되는 것을 모르는 이는 하나도 없다는 생각이며 알곡과 쭉정이를 골라내는 방법에는 바람이 제일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키를 움직이는 것도 결국은 바람을 이용해서 알곡을 남기고 쭉정이는 골라내기 위해서 하는 것입니다 바람을 이용하기 위해서 우리 조상님인들은 곡식 속에 섞여있는 쭉정이와 먼지를 날려 보내기 위해서 바람을 일으키는 풍구를 사용하고 작금의 시대에는 대형 선풍기까지 동원하여 센바람을 일으켜 골라내는 작.. 더보기
비밀의 문. 천국 문을 열어라. 비밀의 문. 천국 문을 열어라. 돈이 많은 부자들이나 금괴가 많은 부자들은 도적이 두려운 생각에 은행이나 집안에 금고를 만들어 놓아 혹시나 도적이 훔쳐갈까 해서 비밀스럽게 관리하고 숨겨 자신만 비밀번호를 알고 있다. 성경에는 비유를 들어 천국을 밭에 나가 일을 하다가 밭에 숨겨진 보물을 발견하고 집에 있는 모든 것을 팔아 그 땅을 샀다한다 보화가 있는 곳을 비밀리에 감추어 놓은 것은 도적이 훔쳐 갈까 두려워서 그런 것 같이 천국을 비유를 베풀어 말씀 하셨던 것은 하나님을 믿는다 하면서 사실은 사단의 말을 전하는 도적 같은 못된 무리들에게 자칫 잘못하여 영생과 천국을 알려주어 정말 천국을 가고자 하는 신앙인들이나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단으로부터 분리하여 천국에 들어가게 하려는 것이다. 영생과 천국은.. 더보기
작지만 큰물에서 놀아야 성공한다. 작지만 큰물에서 놀아야 성공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는 많은 그릇이 있다. 음식을 담는 모양에 따라 그릇의 모양이나 크기가 다르다 하겠다. 사람을 그릇에 비유하기도 하여 작은 간장 그릇이 되지 말고 귀한 음식을 담는 그릇이 되라 한다 그릇에 따라 쓰여 지는 것이 다르기는 하지만 사람은 태어나서 서울로 올라가야 한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기 때문에 성공을 해도 서울서 해야 한다는 생각에 돈이 몰리고 경제가 넘치는 서울로 올라간다는 생각을 한다는 생각을 한다. 작은 골목보다 큰길을 택하고 큰물에 낚시를 던져야 큰 고기가 걸려들고 큰 고기가 된다는 생각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