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의 시작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을 살펴보면 까마귀와 쥐가 신라 21대 소지왕이 정월대보름에 경주 남산에 산책 중에 나타나 쥐가 소지왕에게 까마귀를 쫓아가라하여 따라가니 노인에게 봉투를 받게 되는데 봉투를 열어 보면 둘이 죽고 안 열어보면 한사람이 죽는다는 내용입니다.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 왕비와 승려가 간음하고 반역을 꾀하여 거문고 통을 쏘면 둘이 죽는다는 이야기인데 왕이 까마귀에게 보답하기 위해 정월 대보름에 제사를 드리는 풍습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전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백과사전에도 자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것 말고도 삼국사기에 정월대보름에 관한기록이 남아있는데 신라에는 정월대보름에 연등을 달아 기념했다는 풍습이 전해져 오늘날에는 초파일에 연등행사로 바꾸어져 있다는 사실입니다. 아울러 정월 대보름의 제사는 설날아침에 지내는 가족단위의 제사가 아니라
공동체 단위의 마을 제사로 지내게 되었으며 달맞이나 달집태우기의 풍습이 여기에서 비롯되어 대보름날 뒤 동산에 올라 달맞이를 하며 소원 성취도 빌고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하는 우리가 생각하는 달맞이 풍습입니다.
한마디로 정월대보름은 풍년과 복을 비는 행사로 쥐불놀이 등의 행사는 잘못하면 자연을 훼손하고 산림을 불태우게 되어 금지사항이 아닌가 생각도 하지만 작은 규모로 밭이나 논에 나가 더러는 동네사람들이 새해 농사의 시작을 알리며
마련한 술이나 여러 가지 나물을 준비해 나누어 먹으며 아직까지 대보름행사를 이어가고 있으며 쥐불놀이를 통해 밭이나 논에 벌레를 없애고 재가 날려 거름을 만든다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대보름에는 찹쌀과 밤 대추. 꿀 등을 넣어 쪄서 약식을 만들어 나누어 먹으며 또 오곡밥을 먹으며 정월대보름에는 묵은 나물과 복쌈을 먹는 풍습을 현제에도 전해져 내려와 생각해 보면 우리 조상들께서 여러 가지 음식을 나누어 먹고 함께 농사하며 서로가 도와가며 살아가는 지혜를 만들어 냈다는 생각입니다. 정월대보름은 농사의 시작입니다. 올해도 풍년농사를 기원합니다.
'사랑과 슬픔의 순간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태와 명태 (1) | 2019.03.18 |
---|---|
행복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 2019.02.22 |
"새조개" 새조개는 참새고기 맛인가? 닭고기 맛인가? (1) | 2019.02.17 |
고속도로 통행료 무료 (2) | 2019.02.05 |
아침에 배추된장국 어떠세요.? (2) | 2019.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