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천지이곤. 새 하늘을 바라보자.
"천자문" 천지이곤, 새 하늘을 바라보자.
上有天(상유천)하고 위에는 하늘이 있고. 下有地(하유지)하니
아래에는 땅이 있다. 天地之間(천지지간)에 하늘과 땅
사이에 有人焉(유인언)하고 사람이 있고
有萬物焉(유만물언)하니 만물이 있으니, 日月星辰者(일월성진자)는
해, 달, 별은 天之所係也(천지소계야)요 하늘에 매여있고
江海山嶽者(강해산악자)는 강, 바다, 산은 地之所載也(지지소재야)요
땅이 싣고 있으며
父子君臣長幼夫婦朋友者(부자군신장유부부붕우자)는 부자,
군신, 장유, 부부, 붕우는 人之大倫也(인지대륜야)라 사람의 큰 윤리이다.
以東西南北(이동서남북)으로 동, 서, 남, 북으로
定天地之方(정천지지방)하고 : 천지의 방향을 삼고,
以靑黃赤白黑(이청황적백흑)으로 청, 황, 적, 백, 흑으로
定物之色(정물지색)하고 물건의 빛깔을 정하며
以酸鹹辛甘苦(이산함신감고)로 신맛, 짠맛, 매운맛, 단맛, 쓴맛으로
定物之味(정물지미)하고 물건의 맛을 정하고
以宮商角緻羽(이궁상각치우)로 궁, 상, 각, 치, 우로
定物之聲(정물지성)하고 물건의 소리를 정하고
以一二三四五六七八九十白千萬億(이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백천만억)으로
일,이,삼,사,오,육,칠,팔,구,십, 백, 천, 만, 억으로
總物之數(총물지수)하니 물건의 수를 센다.
천자문이나 천자이곤의 한자 속에 새로운 하늘과 새로운
땅으로 인간에게 무엇을 깨닫게 하고자 깊은 뜻이 담겨져 있다는 것이다.
천지만물이 부분적인 것을 알려주고 있다 하겠다.
사람은 하늘의 은혜를 입고 땅을 다스리며 살아가는
인간의 중요함을 알리고 있다는 것이다.
'사랑과 슬픔의 순간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님의 침묵" 님은 누구인가? (1) | 2015.04.26 |
---|---|
"천자문" 하늘을 배워야 세상이 바뀝니다. (1) | 2015.04.25 |
[장애인의 날] 누구나 똑같은 사람이다. (1) | 2015.04.20 |
인간은 물과 돌이 함께하는 하늘문화이다. (1) | 2015.04.19 |
세월호 참사는 누구의 책임인가? (1) | 201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