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 하늘을 배워야 세상이 바뀝니다.
天地玄黃(천지현황)
天(하늘 천) 地(따지) 玄(검을현) 黃(누를 황) 하늘은 위에 있는 고로
그 빛이 검고 땅은 아래에 있는 고로 그 빛이 누렇다.
宇宙洪荒(우주 홍황)
宇(집우) 宙(집주) 洪(넓을 홍) 荒(거칠 황)
하늘과 땅 사이는 넓고 커서 끝이 없은즉 세상이 넓음을 말한다.
왜 그 빛이 검다고 했을까?
日月盈仄(일월영측)
日(날일) 月(달월) 盈(찰 영) 仄(기울 측)해는 서쪽에서
기울고 달도 차면 점차 기울어진다.
辰宿列張(진숙렬장)
辰(별진) 宿(잘 숙) 列(벌릴 렬) 張(베풀 장)별들은 각각 제자리가
있어 하늘에 넓게 벌려져 있는 것을 말한다.
달도 차며 어디로 기운다는 것일까?
寒來署汪(한래서왕)
寒(찰한) 來(올래) 署(더울 서) 汪(갈 왕) 찬 것이 오면 더운
것이 가는 것과 사철의 바뀜을 말한다.
秋收冬藏(추수동장)
秋(가을 추) 收(거둘 수) 冬(겨울 동) 藏(감출 장)가을에
곡식을 거두고 겨울이 오면 감추어 둔다.
겨울이 오면 감추어 둔다는 곡식은 무엇일까?
閏餘成歲(윤여성세)
閏(윤달 윤) 餘(남을 여) 成(이룰 성) 歲(해 세) 일 년 이십사절기
나머지 시각을 모아 윤달로 해를 정했다.
律呂調陽(률려조양)
律(범착률) 呂(법칙 려)調(고를 조) 陽(볕 양) 율과 여는 천지지간
양기를 고르게 하니 즉 율은 양이요 여는 음이다.
하늘 은혜에 감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랑과 슬픔의 순간들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짓말 탐지기의 정확도는? (1) | 2015.04.30 |
---|---|
"님의 침묵" 님은 누구인가? (1) | 2015.04.26 |
"천자문" 천지이곤, 새 하늘을 바라보자. (2) | 2015.04.25 |
[장애인의 날] 누구나 똑같은 사람이다. (1) | 2015.04.20 |
인간은 물과 돌이 함께하는 하늘문화이다. (1) | 201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