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

부자와 거지의 비유 부자와 거지의 비유 비유는 어떤 현상이나 사물에 대하여 직접 설명하지 않고 그와 비슷한 다른 현상이나 사물을 빌려 표현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부자와 거지가 한날 한 시에 죽었다가 가장한다면 과연 천국에 갈 사람은 누구이겠는가 성경에는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기는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보다 힘들다 했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내용입니다. 세상에 살 때 에는 빈부의 차이가 있더라도 죽어서야 빈부의 차이가 없는데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참으로 궁금하다는 생각이며 답이 있을것 같지 않습니다. 부자가 죽어서 지옥에 갔는데 천국을 바라보니 자기 집 대문 앞에서 구걸을 하면 지내던 거지가 천국에 있는 것을 보고 목이 말라 물 한 방울 건네주기를 청하지만 그리 할 수 없었습니다. . 두고 온 돈 많은.. 더보기
가을비 속에 여인(麗人) 가을비 속에 여인(麗人) 가을비가 내리면 인생이 너무나 허무하다는 생각에 빠져든다. 가을비가 내리며 모든 만물은 잠들어 간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산속에 곰들도 동면에 들어가 긴 어두움을 이겨야 한다는 생각이다. 가을비가 내리면 여름내 활발했던 늘씬한 짧은치마의 아가씨들이 긴 장화에 긴 코트를 걸치고 자신을 감싸기 시작하면서 도시는 어둠으로 변하고 살아있다는 것을 상실하기 시작한다. 하늘은 왜 가을을 만들어 인간의 허무함과 텅 빈 마음을 드러내게 하고 떨어져 내리는 나무 잎과 추적추적 내리는 가을비에 오도 가도 못하는 나그네로 만들어 놓았을까 무엇을 느끼게 하려는 것일까? 가을비가 내리면 살아온 시간들도 앞으로 살아갈 시간도 고요하고 쓸쓸한 느낌이 마음에 채워지는 것은 무엇일까? 인간은 어디로 부터 와서 .. 더보기
나는 행복한가? 나는 행복한가? 혼자서 가끔은 생각하는 것이 나는 행복한가입니다. 살아가는 소망이 무엇이며 하늘과 땅 사이에서 얼마나 많은 행복을 누리며 살고 있는가를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지나온 시간이나 지금의 시간에도 그냥 살아왔던 것이지 행복이 넘쳐 나거나 누구에게 자랑할 만한 행복을 살아가지 못했고 곁에서 지켜보는 사람들도 행복한 사람이라 인정하지 않았다는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누가 인정해 주는 행복을 찾는 것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 행복이 넘쳐난다면 곁에서 지켜보는 사람들에게 행복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스며들어가 행복이 무엇인가 알게 될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하는 것입니다. 어찌 보면 행복은 이미 우리들의 마음 깊이 들어와 있는데 행복을 모르고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은 이미 오래전 .. 더보기
낙엽 따라 가버린 사랑. 낙엽 따라 가버린 사랑. 세월이 흐른다는 표현이 세월이 떨어졌다는 생각이다 가을이 되니 나무에 매달렸던 나무 잎도 과일들도 하나 둘 떨어져 나가고 바람에 굴러다니는 것은 떨어진 세월과 낙엽뿐이다 가을은 남자의 계절이라 하여 모든 것이 달아나고 떨어져 나가니 남아있는 것이라고는 빈 털털이가 된 빈 지갑 같고 세월과 추억도 흘러갔고 길을 잃어버린 낙엽이 바람 따라 이리 저리 헤매는 것 같다 아름다운 꽃들도 시들어 떨어지고 여름철에 그리도 왕성하게 무성하던 나뭇잎도 가을이 되니 떨어져 나가고 겨울이 되면 썩어지기 시작하여 봄이 되면 싹이 자라나니 만물의 이치는 변함이 없다 하겠지만 인간의 마음은 왜 이리 떨어지는 낙엽에서 쓸쓸하고 지구촌에 하나만 남아 외톨이되어 혼자만 살아간다는 생각에 앞이 보이지 않는 안개.. 더보기
가을에는 책을 버리고 여행을 떠나라 가을에는 책을 버리고 여행을 떠나라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 말을 한다 하늘은 높고 맑아 들녘에 잔잔하게 불어오는 가을바람이 우리들의 마음까지 파고들면 가을이 그동안 메말랐던 우리의 마음을 적셔주기에 충분하다는 생각에서 가을에는 책을 읽자고 하는가보다 그러나 자기의 인생도 살피거나 멋지게 살지 못하면서 남들아 써놓은 책에 억매여 배우거나 깨달기 위해 억지로 책을 읽지 말고 이 가을에는 책을 팽개치고 건전한 정신을 담기 위해 여행을 떠나라. 여행길을 떠나는 것은 한권의 책을 읽는 것보다 한질의 소설책을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자신이 걷는 여행길이 소설 같은 이야기가 되고 눈으로 바라보는 모든 사물이 詩가 되어 마음을 정화하며 나 자신도 소설가아 되면 시인이 되어 한편의 이야기를 만들고 돌아온다는 생각에 이.. 더보기
어머니는 동태찌개를 좋아 하셨다. 어머니는 동태찌개를 좋아 하셨다. 어머니는 동태찌개를 좋아 하셨다 식탁에 동태찌개가 오르면 언제나 머리만 드셨다. 동태가 토막을 쳐서 가운데 토막은 먹기 좋게 살이 많지만 어머니는 가운데 토막은 자식에게 나누어 주고 머리만 드시면서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동태찌개 중에 머리기 제일 맛있다고 머리만 독차지 하신다 자식들은 어머니께서 정말 머리만 좋아 하시는 줄 알고 지금도 동태머리만 드린다. 고구마 밭에서 고구마를 캤다 굵은 것은 자식들 나누어 주고 볼품없고 쥐꼬리만 한 것은 어머니께서 드신다.좋은 고구마를 드시라 해도 어머니께서는 고구마는 작은 것이 달고 맛있다 하신다. 자식들은 정말 작은 고구마가 맛있는 줄 알고 굵은 것은 본인들이 먹고 작은 것은 어머니를 위해 남겨 둔다는 사실에 어머니의 마음과 자식의.. 더보기
"역사탐방" 충북옥천 정지용시인 생가. "역사탐방" 충북옥천 정지용시인 생가. 나라를 사랑하고 고향을 그리워하고 어머니를 생각하며 실개천이 흐르는 곳에서 동무들과 놀던 시절을 그리워했던 정지용시인의 발자취를 따라 사람의 순수한 모습으로 돌아가 봅니다. 정지용시인은 얼마나 하늘의 이치와 자연을 마음에 담았으면 모두가 공감하고 아파하고 그리워하는 한 구절의 시가 사람의 마음을 녹여내고 하나로 묶는다는 생각이다 어린 시절 어머니의 가르침이나 자연에서 흐르는 물줄기에 시인의 마음도 흘러 보내는 정직하고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살아가며 살아왔기에 눈앞에 보이지만 실제로는 깊은 우물 같은 마음으로 오늘을 살아가는 모두에게 맑은 어머니와 고향을 선물했다는 생각을 하면서 시인의 모습으로 들어가 봅니다. 더보기
어머님께서 만드신 시골송편 어머니께서 만드신 시골송편 자식들이 시골에 내려가기가 복잡하니 명절이 되면 부모님들께서 서울로 도시로 올라와 가족들과 함께 명절을 보내고 농사철이 바빠 며칠을 쉬지도 못하시고 내려가신다. 더욱이 시골에서 올라오실때에는 송편을 빚고 부침개를 만들어 무거운 짊을 양손에 들고 올라오실 때마다 가슴이 찡한 것은 아무리 말려도 자식 생각 손자 생각에 그리 하신다 생각한다. 부모님 마음은 누구도 그러시겠지만 뭐든지 챙겨주셔야 마음이 편하시다는 생각과 그렇게 못하시면 안타까워 안절부절 하시는 모습에 힘드시더라도 마음을 편하게 해드린다는 생각에 명절이 되어 보따리. 보따리 챙기시어 힘들게 오라 오셔도 그저 고맙게 받아먹고 오래 오래 장수하시고 건강하시길.만을 바란다. 모두의 어머님들이 건강하시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