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을 만들어가는 세상 이야기

초복. 중복. 말복에 삼계탕과 보양식을 먹은 유래와 까닭은?

초복. 중복. 말복에 삼계탕과 보양식을 먹은 유래와 까닭은?

폭염이 내리쬐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옛말에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 열은 열로써 다스린다는 뜻으로 힘은 힘으로 물리침을 이르는 말입니다. 흔히들 여름에 뜨거운 것을 드실 때에 어른들은 시원하다 말하며 온천에 가면 뜨거운 탕 속에서도 시원하다 말하는 이유가 이열치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한여름에는 초복중복말복이 점차적으로 지나가서 계절이 바뀌어야 시원한 가을이 찾아옵니다. 한국인들은 여름철을 가장 잘 챙기는 이유가 잘못하면 무더위에 건강을 해치기 때문에 유독 건강에 관심이 많은 한국인들은 더위가 시작되면 그동안 부족했던 영양분을 챙기려 하고 평소에 드시던 식사 습관을 바꾸어 영양가가 많은 건강음식을 찾아다니기도 합니다.

백과사전을 살펴보면 복날은 양기에 눌려 음기가 바닥에 엎드려 있는 날로 사람들이 더위에 지쳐 있을 때라 말하고 있습니다. 태양의 뜨거운 기운이 최고로 힘을 발하고 있기에 바람들은 겨우 써늘한 그늘을 찾아다니지만 초중복말복이 지나야 나무 그늘에 바람이 불어오고 시원해 지기를 기다릴 수가 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오행설'에 따르면 여름철은 '화'의 기운이 넘쳐나고 가을철은 '금'의 기운으로 가을의 '금' 기운이 땅으로 나오려다가 아직 '화'의 기운이 강렬하므로 일어서지 못하고, 엎드려 복종하는 때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엎드릴 '복(伏)' 자를 써서 '초복, 중복, 말복'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복날은 더위를 꺾는 날이라 하여 사람들은 보양식으로 삼계탕 집을 찾아다니고 닭백숙이나 오리백숙 낚지요리나 건강 음식을 찾게 됩니다.

예부터 더울 때는 이열치열이라 하여 뜨거운 것을 먹는 것은 다 그 까닭이 있습니다. 여름에는 사람 몸은 외부의 높은 기온 때문에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어떻게 해서라도 막으려고 피부 근처에 다른 계절보다 20~30퍼센트 많은 양의 피가 모이게 됩니다. 따라서 위장을 비롯하여 여러 장기는 피가 모자라게 되고 몸 안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식욕이 떨어지면서 만성피로가 몰려오고 이른바 여름 더위를 먹었다는 증세가 나타나기 나게 됩니다.

이때 덥다고 차가운 음식만 먹게 되면 배나 장기가 더욱 차가워져 음식을 잘못 드시면 식중독이나 배탈 설사가 이어져 건강이 나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따뜻한 음식을 먹거나 땀을 흘리며 일을 해서 장기를 보호해주는 것입니다. 더운 여름에 찬 것만 찾기보다는 미지근한 물이나 음식으로 우리 조상님들이 여름을 이겨내는 슬기로움으로 겨레의 차라리 뜨끈한 먹거리로 더위를 이겨내 보는 것이 건강을 보호하고 지혜롭다는 느낌입니다.

2022년 초복 7월 16일 (토) 중복 7월 26일 (화) 말복 8월 15일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