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랑과 슬픔의 순간들의 이야기

최고의 물방울 다이아는 무엇인가? 최고의 물방울 다이아는 무엇인가? 수척천석(水穿石)이라 하여 물방울이 한 방울 한 방울 떨어져 돌을 뚫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세상에 제일 값나는 물방울 다이야는 100억이 넘는 물방울 다이야가 있는가 하며 만 가지 다이아가 있지만 바위를 뚫는 물방울 하나만 못하다는 생각을 하게하는 것입니다. 물방울이라는 것이 작은 일이라도 끈임 없이 하게 되면 일을 이룰 수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여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떨어지는 물방울은 횟수를 생각하지 않으며 시간과 세월도 탓하거나 성내지 않고 오직 말없이 순응하고 따르며 결국은 바위도 뚫고 나간다는 것입니다. 물방울이 모여져 냇가를 이루고 큰 바다를 만들어 내는 것이 말없이 실천하는 습관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생각이며 아주 작은 물방울 하나가 사람들의 생.. 더보기
[보석진주] 우리는 값진 보석진주가 되어보자. [보석진주] 우리는 값진 보석진주가 되어 보자. 보석진주는 조개속에서 그냥 자라는 것이 아니라 고통과 연단을 쌓아야 값진 진주보석으로 귀하게 태어난다는 것입니다. 우선 모래알이 조개 속으로 들어오면 모래알을 받아들이고 아무 관심이 없이 그냥 자라게 놔두면 결국 조개는 썩어져 죽게 되지만 조개 몸속에 들어온 모래알을 고통을 참아 가며 분비물로 모래를 감싸서 살에 파고들지 못하게 액을 토해내서 바르고 발라야 조개도 살고 그 속에서 값진 진주보석이 탄생하는 것이 아닐까. 깊게 생각해 보는 것입니다. 결국 달리 생각하면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에 이물질이나 가시가 입안에 들어 오면 뱉어내게 되는 것처럼 조개도 이물질이 들어오면 뱉어내야 살 수가 있는 것이고 만약 입안에 들어와 배속으로 들어가면 병의 원인이 된다 .. 더보기
엄마 찾아 삼만리가 무슨 뜻인가.? 엄마 찾아 삼만리가 무슨 뜻인가.? 인류는 아담의 범죄로 시작하여 6천년 동안 세상이 악의 지배자인 마귀의 거짓말에서 조종을 받아 살아야만 하고 그로 인하여 죄악 가운데서 죽음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없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육으로 태어나서 결국 죄로 인하여 흙으로 돌아가고 본래의 영혼의 고향인 하늘나라에서 떨어져 나와 눈물과 고통으로 일평생을 지내다가 죽음으로 가는 것이 인간이라는 것입니다. 세상을 사는 동안 육적인 부모님의 양육으로 먹고 사는데 지장 없이 잘 먹고 잘살아 왔지만 역시 인간은 아무리 잘 먹고 산다 하더라도 병들고 썩어지는 것이 인간이기에 인간이 살 수 있는 방법은 인간의 본연에 영혼의 부모님을 만나서 그 뜻을 알고 그 죄에서 벗어나야 영혼이 죽지 않고 살아가는.. 더보기
[새해설날] 새 하늘 새 땅이 밝았습니다. "새해설날" 새 하늘 새 땅이 밝았습니다. 묵은 해를 보내고 새로운 새해 설날입니다. 양띠 해를 맞이하여 가족과 함께하며 이웃에게 도움을 주고 부모님께 효를 다하며 모두가 넉넉하고 행복한 한해가 되기를 바라며 하고자 하는 일들도 하늘이 도우사 만사형통하시길 바라는 것입니다. 선조들의 지혜로 만들어진 떡국은 기력을 보충하기 위해 만들어 진 것입니다. 더군다나 가늘고 길다하여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떡국이 되겠습니다. 떡국을 많이드시고 무병장수는 물론 가족들 모두에게 풍년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것이며 새해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더보기
[설날] 10년이면 강산도 차례상도 변한다. [설날] 10년이면 강산도 차례상도 변한다. 시간이 많이 흘렀다는 생각을 합니다. 설날이라 고향에 찾아가 부모님을 뵙고 조상들의 뜻을 생각하며 가족과 이웃들 간에 어렵게 살아온 지난 시간들을 나누며 새해를 맞이하는 것이 설날이라 하겠습니다. 시대가 변하다 보니 설날 상차림에 대하여 sns에 설. 추석이면 질문하는 내용들이 피자나 치킨 심지어 커피까지 상차림에 올려도 되는 냐는 질문이 엄청나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께서는 말하기를 현대의 별미인 피자나 키킨은 경제적인 어려움만 없다면 무방하며 바나나나 파인애플도 전통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괜찮다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차례상에 올리지 않았던 석류 유자 참외 귤도 올렸다는 것입니다. 시물(時物)이라 하여 그 시기에 구할 수 있는 물건이면 다 된다는 뜻으로 홍동백.. 더보기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은 신성함이 목적이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은 신성함이 목적이다.. 흰떡국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것은 새해에 제사상에 올리는 것이 지방에 따라 다르고 가정에 따라 다르다고 하지만 떡국을 제사상 올려 조상님께 드린다는 사실입니다. 흰떡국을 엽전 모양으로 썰어서 소고기국에 끓여 먹는 것도 또한 세배하러 오는 손님들에게 대접하는 것도 엽전모양의 떡국. 세배 돈을 대신해 하고 있다는 생각을 개인적으로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전해 듣고 있는 이야기에 사람이 죽으면 검은 도포자락을 입은 검은 차림에 저승사자가 죽은 자의 넋을 데리고 가는 것을 전설에서 많이 접하고 있는데 생각해 보면 왜 저승사자는 검은 도포를 입고 있을까. 그것은 검은 도포는 천사가 아니라 지옥으로 데려가는 사단에 심부름꾼이라는 생각이며 다시 말해서 .. 더보기
파도에 흩어지는 모래성을 언제까지 쌓고 살 것인가? 파도에 흩어지는 모래성을 언제까지 쌓고 살 것인가?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추구하면 살아가는 것이 정말 무엇인가를 가던 길을 잠시 멈추고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살아가기 위해 남은 시간이나 살아온 시간들이 그토록 집요하게 열심히 살아온 것이 무엇 때문인가? 학업을 높여서 반장되고 공부를 열심히 하여 사회에 모범이 되고 나아가 좋은 직장을 구하고 돈을 많이 벌어서 좋은 색시를 얻어 부자가 되기 위해 쌓으려고 하는 것이 좋은 아파트를 구하고 토끼 같은 새끼들 낳아 남부럽지 않게 살기 위함이라는 생각도 합니다. 더러는 전문분야를 찾아 연구하고 노력하며 사회에 이바지 하려는 목적도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그러나 이 모든 과정이 인간으로서 아주 평범하게 살아가야 하는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더보기
악연과 인연의 중간은 사랑과 배려이다 악연과 인연의 중간은 사랑과 배려이다 사람들의 인연의 뿌리는 어디서 시작되고 있는 가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흔히들 인연이 있으면 또 만난다는 생각을 하게하며 특히 결혼에 있어서도 좋은 인연으로 맺어져 심지어 하늘에서 맺어준다 하여 천생연분이라는 말을 하면서 사이좋게 살아간다 하지만 결국은 그저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정말 좋은 인연일까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부모님과 인연은 좋은 관계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태초에 만들어진 아담의 범죄로 인하여 죄의 유전자로 태어났기에 좋은 인연이 아니라 악연 속에서 태어나고 맺어지는 것이 부모님과 인연이며 창조주께서는 죄로 인한 인간의 마음을 회복시키기 위해서 부모님께는 사랑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셨다는 생각을 하게하며 자식에게 효를 다하는 자세를 가르치려 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