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아름다운 세상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아름다운 세상 자연은 인간에게 많은 것을 선물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5월 되어 산과 들에 나가보면 나무에 매달린 복숭아와 호두가 모양을 갖추어 가며 익어가고 밭에는 토마토와 오이가 매달리기 시작했으면 계절이 거침없이 달려간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뿌려지고 길러지고 열매가 열리고 그 열매들을 수확하여 사람들이 먹고살며 영양분을 섭취해 건강해져 오래 산다는 생각에 자연이 이처럼 인간들에게 베풀어 주는 것이 많다 하겠습니다. 어쩌면 댓가성 없이 무한대로 공금해 주는 열매들은 나름대로 하늘에서 값없이 햇빛과 이슬을 받아 자라기에 나누어 준다는 생각입니다 어쩌면 인간들도 자연의 순리를 깨달아 자연이 선물하는 자세를 배워 나누어 주고 함께 만들어 가는 사회가 된다면 자연과 사람이 하나가 되어 .. 더보기 "물" 물 부족국가의 살아남기 위한 물. "물" 물 부족국가의 살아남기 위한 물. 여름을 넘나드는 폭염이 이어지더니 하늘이 인간에게 단비를 내리시기 시작하여 온 대지를 적셔주고 시들어 가던 농작물이 생기를 받아 다시 살아난다는 생각을 합니다. 물이 부족한 세상 뜨거운 태양만 내리쬐는 더위만 계속된다면 살아가는 세상이 삭막하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어려운 고통을 받아 가면 살까 자연이 인간에게 베풀어 주는 단비가 고맙다는 생각입니다 폭염에 밭에 나가면 농작물이 시들하고 힘이 없어 보이는 것을 볼 때에 때마다 비를 내리셔서 만물이 소생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물이 부족한 나라에서 물의 소중함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물 한 방울이라도 관리를 잘하고 잘 보호하여 내일을 대비하고 나아가 미래를 살리기 위해 다음세대를 위해 만반의 준비를 다해야 된다고.. 더보기 "물" 자연과 사람과 나무는 물이 없으면 살 수가 없습니다. "물" 자연과 사람과 나무는 물이 없으면 살 수가 없습니다. 사람의 수명은 고작해야 80-100살을 살다가 죽어갑니다 자연 속에 자라는 나무는 몇 백년을 살다가 죽어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연에서 사람과 나무는 똑같이 물을 받아먹고 살아갑니다. 물이 없으면 사람과 나무는 오래 버티지 못하고 죽어갑니다 하늘에서 날마다 햇빛과 비와 바람을 보내지 않으면 결국 사람과 나무는 이 땅에 존재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람과 나무가 살아있다는 것은 하늘의 놀라운 은혜와 하나님 손길에서 만들어지는 자연의 조화에서 부담 없이 누리며 살아간다 하겠습니다. 너무나 아름다운 세상을 살다보니 그 고마움을 모르고 살아가는 것이 못난 인간들이라는 생각입니다. 사람과 나무는 육신을 위해서는 물을 먹어야 살아가고.. 더보기 시(詩)와 바람이 머무는 화양구곡. 시(詩)와 바람이 머무는 화양구곡. 맑은 물이 흐르고 물속에 깨끗한 모래가 보이며 물속에 놀고 있는 물고기들이 훤히 보이며 계곡 속의 못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 금사담이라 합니다. 송시열선생께서 정계은퇴 후 은거하여 지내며 자연을 노래하고 세월을 한편의 시(詩)로 엮어 살아온 시간들을 바람 속에 맑은 물속에 흘러 보내 것이 한편의 시(詩)라는 생각입니다. 화양구곡의 중심에 자리 잡은 금사담은 거대한 바위위에 정자를 짓고 이곳에서 송시열 선생은 학문을 연구하며 수양하던 곳으로 세월이 흐른 오늘날 이곳의 정취는 가히 명불허전이라 하겠으며 가히 시(詩)를 나누고 바람소리 새소리에 세상의 모든 것을 잊어버리고 탁주 한 사발에 인간의 솔직한 모습을 자연에 비추어 보고 마음에 우러나오는 詩한수를 맑은 물에 담아 흘.. 더보기 해달별을 관측한 장영실의 우주공간. 해달별을 관측한 장영실의 우주공간. 장영실은 오래전에 누구도 하지 못했던 해달별과 우주의 원리를 일찍이 깨달아 해와 달과 별을 면밀하게 관측하여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에 자연을 이용하여 편리함을 만들어 주었다는 생각입니다. 장영실이 연구한 것은 해달별과 우주가 운행함에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운행하는 것을 찾아내어 매일 같이 관측하고 연구한 결과 해시계를 연구하고 물시계의 원리를 이용해서 낮과 밤을 길이를 찾아내었다는 생각입니다. 오늘날 천체망원경이 등장하고 과학이 발달해서 누구나 손쉽게 해달별에 대해 연구하여 지구가 허공에 떠있는 상태로 태양을 중심으로 움직이며 1억5천만km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시속10만8천km로 공전하며 365일 5시간 48분 48초로 단 1초도 틀리지 않고 운행하고 있다는 것을 .. 더보기 맑은 물속에 마음을 담는 곳 화양구곡 금사담. 맑은 물속에 마음을 담는 곳 화양구곡 금사담. 맑은 물이 흐르고 물속에 깨끗한 모래가 보이며 물속에 놀고 있는 물고기들이 훤히 보이며 계곡 속의 못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 금사담이라 합니다 송시열선생께서 정계은퇴후 은거하여 지내던 곳이 화양구곡의 중심에 자리 잡은 금사담이라 하겠습니다. 넓고 거대한 바위위에 정자를 짓고 이곳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수양하던 곳으로 세월이 흐른 오늘날 이곳의 정취는 가히 명불허전이라 하겠습니다. 지금은 겨울에 얼음이 얼어서 침묵하고 있지만 봄이 되면 맑은 물이 흐르고 불속을 들여 보여서 곧은 마음 바른 선비들이 몰려와 학문을 나누며 자연을 감상하며 세월을 낚는다 하겠습니다. 더보기 "우리나라 최고의 겨울명산" 덕유산 향적봉. 우리나라 최고의 겨울명산" 덕유산 향적봉 . 겨울이어서 더 아름다운 산이 무주덕유산 향적봉입니다 하늘이 내려준 아름다운 설원이 펼쳐져 하나님께서 만들어 놓은 것이 이 처럼 아름답게 펼쳐져 신비를 담고 있다는 것입니다. 천지만물을 만드신 분이 하나님이시기에 덕유산을 다스리고 보살피고 계시다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인간의 능력으로는 아름다움을 만들거나 창조해 낼 수가 없다는 것을 증명합니다. 눈에 아른거리고 마음에 동요가 되어 그냥 앉아 있을 수가 없어서 추위를 불구하고 덕유산을 찾아 올랐습니다. 매서운 추위에도 많은 등산객이나 여행객이 설원을 즐겼습니다. 겨울 산을 많이 찾아다녀도 확 트인 산야를 한눈에 볼 수 있다는 것은 즐거움이라 생각합니다. 무주 덕유산은 향적봉에 올라서면 한 눈에 아름다운 겨울의 경치.. 더보기 "오늘의 일기" 가을이가고 겨울이오면 "오늘의 일기" 가을이가고 겨울이오면 이 가을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는 사실에 슬프다. 다름해에 다시 씨를 뿌리고 나무가 자라고 잎사귀가 생겨나서 가을이 되어 오색으로 물들어가는 낙엽을 다시 보게 될지는 인간의 능력이아니라 하늘이 주관하기 때문이다. 되풀이되는 계절이 세월 따라 오고 가는 것이 아니라 겨울을 이기고 기운을 얻어 봄이되어 파릇한 새싹이 피어나는 것은 하늘의 이치이고 자연의 순리지만 인간은 그것이 그냥 왔다 당연이 돌아오는 줄만 알고 살아가는 것이 어리석음이다. 가을이 멀리 달아나고 겨울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하니 떨어져가는 낙엽 속에서 벌써 일찍이 핀다는 하연목련은 꽃망울이 생겨나고 차디찬 겨울을 이기려 준비하고 있으며 모든 만물은 잠들어 가고 있는 것 같지만 새롭게 시작한다는 것이다. 나무와..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다음